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와 조각보 그리고 홀릭_홀릭

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와 조각보 그리고 홀릭




  2013년 센터는 새로운 운동의 방향을 고민할 때트랜스젠더 인권운동 단체가 필요함을 느끼고 “트랜스젠더 인권지지기반 구축 프로젝트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” 라는 긴 이름의 프로포절을 아름다운 재단에 냈었다그리고올해가 3년 프로젝트의 갈무리 단계이며 곧 트랜스젠더 인권단체가 만들어질 예정이다


 잠깐 센터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면센터가 잘하는 것은 어떤 운동의 필요성을 느껴 그것을 구체화한 후 결국 하나의 단체로 자생시키는 일인 거 같다쉽게 생각하면 인큐베이팅이라 말할 수 있다


 2005년 여성이반미디어활동가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 “주파수 L을 잡아라” 를 통해 지금의 <레즈비언주파수 라디오 레주파>가 생겼고, 2007년 <10대 여성을 위한 레인보우 브릿지 (Rainbow Bridge) 첫삽뜨기 '물보라작전(Spray Project)'  - 10대 여성 거리상담 프로젝트를 통해 지금의 <성적소수자를 위한 – 별의별 상담소>가 생겼으며 2009년 <한국 퀴어아카이브 구축프로젝트를 통해 지금의 <퀴어들의 자료를 모아놓는 – 한국 퀴어 아카이브 퀴어락이 생겼다


 그리고 2013년 트랜스젠더 인권지지기반 구축 프로젝트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를 통해서 2015년 11월 트랜스젠더 인권단체로 발돋움하는 <조각보>의 발족을 앞두고 있다.


 다른 역사들보다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가 만들어진다는 것에 대해 많은 감정들이 교차하여 가슴이 벅차 오르기도 하고 뿌듯하면서도 아쉽기도 하고 허전함의 감정까지 드는 요즘이다프로젝트 첫 해에는 리인님께서둘째 해에는 캔디님그리고 마지막 올해에는 내가 조각보에 기획단원으로 참여하였다매해마다 센터 활동가들의 고민들이 있었는데 첫해에 리인님의 고민은 트랜스젠더 운동에 대해서 “잘 모른다” 는 감정으로 많이 울었던 그 모습을 기억한다둘째 해의 캔디님 고민은 “내가 조각보 활동에서 사람들의 역량을 저하시키고 있는 것은 아닐까?” 에 대한 고민이었다고 한다그리고 올해 셋째 해의 나의 고민은 앞선 리인님의 고민에 덧붙여서그리고 캔디님의 고민과는 반대의 고민인 나의 역량에 대한 고민이었다


 트랜스젠더 인권에 대해서 잘 모를뿐더러 프로젝트로 시작한 조각보를 인권단체의 상으로 만드는 것에 대한 부담과 단체의 상을 잘 찾아줄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까지 작용하였다지금에서야 돌아보면 가장 크게 내게 자리했던 “잘 모른다는 고민의 지점들이 일반(편하게 쓰는 호칭으로 이해를 부탁사람들이 성적소수자에 대해 “저는 성적소수자를 잘 몰라요..”라고 할 때 화나는 고민지점과 맞닿아 있다는 생각을 한다그래서 잘 모른다는 핑계는 이제 하지 않는다


 지금에 와서 돌아보면기획단 안에서도 많은 차이와 잘 모름에 대한 고민들이 다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조각보 기획단의 어떤 이는 이 바닥에는 이성애자들만 있는 줄 알았다는 말 속에서기획단 회의를 하면서도 회의하는 내용과 말들이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는 이야기부터 당사자가 아닌데 트랜스젠더 운동을 하는 이해할 수 없음의 이유까지.. 그 차이를 서로 알고 서로 인정하는데 3년의 시간은 부족하면서도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한다그렇게 우리는 모두 성장했다고 생각한다그리고 어디로 가야 할지 어떤 “단체를 만들어야 할지 어두운 터널을 지나갈 때,  단체의 무게가 모두를 힘겹게 할 때 “내가 제일 하고 싶은 건 무엇일까조각보가 가장 잘 하는 건 무엇이었을까무엇이 제일 재미있었을까?” 로 돌아와서 모두 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이것이 조각보의 힘이라고 생각한다주류적인 것그렇게 해야 할 것 같은 운동어려운 것이런 것을 버릴 수 있는 힘.. 그리고복잡다단한 트랜스젠더의 삶을 보여주고자 하는 그 활동들지극히 개인적인 판단이지만나는 그렇게 느껴졌다


 아직도 난 트랜스젠더에 대해서 트랜스젠더 운동에 대해서 잘 모른다그렇다고 나의 정체성인 레즈비언에 대해서 레즈비언 운동에 대해서 잘 아는 것도 아니다다만 처음의 모른다와 지금의 모른다의 차이는 처음에는 막연한 두려움이라면 지금은 운동 안에서 수많은 차이를 존중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그런 면에서 많이 공부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모름이다.


 처음 인권운동을 시작할 때 나의 모습은 긴 생머리를 하고 있었다여러 이유가 있었지만본가에서 엄마가 원하는 모습으로 살아가야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긴 머리의 모습이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머리를 짧게 잘랐을 때 내가 내가 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었고비록 이 바닥에서 레즈비언으로 인정받는 시간보다 부치 정체성을 획득하는데 시간이 더 걸렸지만(부치가 뭐라고 ㅎㅎ), 그런 일련의 과정들이 나에는 트랜지션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삶은 복잡다단하다그리고 우리의 삶은 맞닿아 있다고 생각한다나의 삶에도 말이다물론 새발의 피 만큼의 경험이지만 말이다그래서 나도 조각보자기의 한 켠을 차지한다고 생각한다그리고 당신도! 



나를 아주 많이 성장시켜 주고

 부족한 나를 받아준

 따뜻한 조각보의 기획단원 홀릭